Q&A

free_board_view
제 목 전자부품설명 간단정리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6-11-16 조회수 1063

1)varistor
배리어블 레지스터(variable resistor)의 약칭이다.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에 관계없이, 전압의 크기만에 의해 저항이 정해지는 대칭형 배리스터와, 가해지는 전압의 극성에 의해서 달라지는 비대칭형 배리스터가 있다.

비대칭형 배리스터는 셀렌 ·게르마늄 ·실리콘 등의 반도체다이오드가 유용되며, 또 대칭형에는 실리콘카바이드나 비대칭형을 2개 조합해서 사용한다. 전기접점(電氣接點)의 불꽃을 소거하거나 반도체 정류기 ·트랜지스터 등의 서지전압(surge voltage)으로부터의 보호에 사용한다
http://203.241.197.84/btob/opendir/dir3-4.php
http://tvss.posntech.com/htm/rayvoss/mov.htm



2)서미스터 (Thermister)
이 반도체의 도전율이 주위 온도변화에 민감한 것을 이용한 전자회로용 소자(素子)이다. 원래 미국 웨스턴사(社)의 상품명이었으나 근래에 와서 온도검출용 반도체 소자의 대명사로 일반화되었다.

일반적인 금속과는 달리,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저항온도계수(負抵抗溫度係數)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라 한다. 구조적으로 직열형(直熱形) ·방열형(傍熱形) ·지연형(遲延形)으로 분류되는데, 외형은 깨알만한 것에서부터 동전 크기만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열용량이 적어서 미소한 온도변화에도 급격한 저항변화가 생기므로 온도제어용 센서로 많이 이용되며, 체온계 ·온도계 ·습도계 ·기압계 ·풍속계 ·마이크로파전력계 등의 측정용이나 통신장치의 온도에 의한 특성변화의 보상, 통신회선의 자동이득조정 등 이용분야는 넓다.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특수한 서미스터로서 정저항온도계수(正抵抗溫度係數)를 가진 정특성 서미스터(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도 있다. 이것은 티탄산바륨계의 반도체에 주석 ·세륨 등을 0.1% 정도 혼합하여 만든 것이다. 그리고 어떤 온도에서 저항값이 급변하는 것을 CTR(critical temperature resistor)라 한다.

통상 서미스터를 센서로 통칭하는 경우가 많으며 즉, 저항체를 말하는 것입니다.
저항체는 온도상승에 따라저항이 증가하는지 아니면 감소하는지에 따라 PTC, NTC 저항으로 나뉘고, 온도상승 주체에 따라 외부가열식, 자체가열식으로 나뉘게 됩니다.
FATC에서 사용되는 서미스터는 외부가열형 NTC 서미스터라 할 수 있습니다. NTC 서미스터(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er)는 저항체에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감소하는 특성을 이용 FACT에서 센서로 전류를 흘려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온도로 환산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자동차 전기장치의 센서류는 외부가열형 NTC서미스터에 속한다고보면 된다.
http://sensor.home.uos.ac.kr/se_temp.htm


3)Line Filter
통상적으로 noise filter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정류기나 smps에서는 EMI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품 앞단에 위치합니다.제품에서 back하는 noise를 줄여주기 위함입니다..
보통 라인에 직렬로 삽입되는 노멀모드필터와 라인과 라인의 병렬로 삽입되는 커먼모드필터로 나누어집니다..Y-capacitor,X-capacitor와 같이 사용하여 noise를 제거합니다..
http://www.bye21.co.kr/bye21/tr-noise09.htm


4)Y-capacitor,X-capacitor
Y-capacitor는 라인과 접지 사이에 추가되는 콘덴서로 주로 고주파노이즈를 흡수하고 용량은 수천pF을 사용합니다..내압이 1KV이상의 것을 많이 사용합니다. 세라믹콘덴서를 주로 사용합니다.
X-capacitor는 라인과 라인사이에 추가되는 콘덴서로 주로 저주파노이즈를 흡수하고 용량은 1uF내외의 것을 많이 사용하고 내압은 입력되는 전압보다 큰것을 사용하는 됩니다..
http://www.safetydb.com/lesson/cap.htm

5)Transformer

텔레비전 ·라디오 ·통신기 등에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전력을 사용할 목적으로 전압을 오르내리게 하는 것은 변압기라고 한다. 또 변압기와 같이 트랜스포머 또는 트랜스라고도 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구리선을 감아서 만든 두 쌍 이상의 코일(두 쌍일 경우, 한쪽을 1차코일 다른쪽을 2차코일이라고 한다)과 각 코일을 관통하고 있는 철심(鐵心)으로 되어 있다. 코일은 대부분 동일한 테에 감겨져 있으며, 권선수(捲線數)를 바꿈으로써, 1차와 2차의 전압을 바꿀 수가 있다. 철심은 코어라고도 하며 자성재료(磁性材料)를 사용하는데, 용도에 따라 규소강판 ·퍼멀로이 ·페라이트(ferrite) 등을 사용한다. 철심의 형상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코일을 둘러싸고 있는 것과 코일 속에 들어 있는 것 등이 있다. 고주파에 사용하는 변성기 중에는 철심이 없는 것도 있다.

변성기를 사용하는 전류의 주파수에 따라서 저주파 변성기 ·중간주파 변성기 ·고주파 변성기라고 부르며 펄스 전류에 사용하는 것은 펄스 변성기라고도 한다. 변성기를 사용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전기회로의 임피던스 정합(整合)을 취하여, 전기적인 효율의 증가를 꾀한다. ② 회로를 교류적으로는 결합해 놓으면서 직류적으로 분리하여 설계하기 쉽게 한다. ③ 1차 및 2차 코일의 전압을 변화시켜 그것에 따르는 전류의 감소 또는 증가를 꾀한다.

정류기나 smps에서 가장중요한 것이라고 말해도 됩니다..
트랜스의 사용목적은 2가지입니다..
먼저 한가지는 전력전달이고 다른한가지는 입력과 출력의 절연입니다.
이두가지를 만족하는것이 아직없기때문에 트랜스를 사용하는것이겠지요
재질과 모양에 따라서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마도 현재는 TDK회사의 코어를 제일 많이 사용하지 않나 생각됩니다..
국내업제는 이수,삼화....등등..
http://www.tdkkorea.co.kr/
http://www.isu.co.kr/ceramics/prod_1.htm
http://fourcom.co.kr/frame.htm


6)Photocoupler
발광부(發光部)와 수광부(受光部)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장점을 이용한 것으로서, 1955년 미국의 E.E. 로브너가 고안한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발광부에는 발광다이오드 ·텅스텐램프 ·네온램프, 수광부에는 실리콘 아발란세 포토다이오드 ·pin다이오드 ·황화카드뮴 ·카드뮴 셀렌 등이 쓰인다. 현재, 많이 쓰이는 것은 갈륨아세니드 적외발광(赤外發光) 다이오드와 실리콘 포토다이오드를 조합한 것이다.

발광부와 수광부는 투명수지(透明樹脂)를 매개하여 광학적으로 결합하는데, 외광(外光)을 차단하고 기계적인 강도를 더하기 위해 그 둘레를 검정색 수지로 두껍게 덮었다. 이 때문에, 입력과 출력 간의 내압(耐壓)이 수 kV나 크다. 또, 발광부에 갈륨아세니드알루미, 수광부에 pin다이오드의 고속소자(高速素子)를 사용하면 100 MHz까지 사용할 수 있고, 직류에서 고주파까지 평탄한 주파수응답을 얻을 수 있다.

포토커플러는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강하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간의 전류를 절연할 수 있으며, 각 장치마다 접지(接地)가 가능하다. 또, 장치 간의 결합용량이 작기 때문에 출력 쪽의 신호가 입력 쪽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전기회로와 단말기 등을 포토커플러를 매개해서 결합하면, 전원전압의 차이나 기계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신경을 쓸 필요가 없어 회로설계가 쉬워진다.

컴퓨터의 주변기기 ·자동판매기 ·고체릴레이 ·전원제어용 등에 쓰이고 있다. 수광부와 집적회로를 조합한 것과 직접 전력계통을 제어하기 위해서 포토사이리스터와 조합한 것도 있다.


포터커플러도 용도는 절연입니다...
절연된상태에서 1차의 동작상태를 알수 있으니까요
보통 smps를 보면 feed back되는곳에는 모두 포터커플러를 사용한다고 봐도 됩니다..
전류전달률이 클수록 1차의 동작을 확실하게 2차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http://user.chollian.net/~choiseil/circuit/photo.htm
이전글/다음글
이전글 휴대폰 배터리 재활용하기...
다음글 옴의법칙